The Poetics of Dwelling

“Poetically Man Dwells.”     – Martin Heidegger

Temporary and lasting

The land lies at the foot of the western part of the river where the North and South Han Rivers converge. Forty years ago, the land owner had sought to build a house on this land, which had been long untouched by humans and had formed a lush forest of old trees and growing shrubs. One can reach the riverside after taking a long narrow path through the bushes, seeing the river flow silently over the wind-stirred reeds and the hem of Jungam Mountain laying upon it, just like an old Korean painting. The early morning mist of the water is scattered in the sun, and groups of birds fly overhead, the flapping of their wings being the only sound in the otherwise calm silence. On the edge of this land that is filled with life, we marveled at the falling house with its square shape, thinking about what is temporary and lasting, as well as the meaning of “residence” and the original form of the house. It took five years from the first site visit to create the final design, and another seven years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riginal form of the house

The discussion of the original form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and shaping the present anew. The original form is a collective representation that exists in the subconscious. The original form of a house is based on the identity shared by the people who inhabit it, not the architectural substance. Ever since mankind decided to group up and settle down, a hearth has existed in the middle of collective homes. Gottfried Semper, a 19th-century German architect, also referred to the hearth as the first element of architecture. The hearth, which has been the divine focus in the consciousness of mankind for a long time, will be placed in the middle of the new house that is being built on this land and will create a new focal point for the family. With the owner’s desire for unity and harmony among the family members, who have scattered over the years, the house will be a place at which they can discover the meaning of family and community and reinvigorate themselves in nature.

Order and metaphor

Building the Joan-myeon house was a process of accepting and finding solutions to the conditions occurring within a limited space. The land by the river offered limited space for construction due to regulations, and there was not enough floor space for construction. Despite the spatial constraints, the main task was to plan a two-story house with river views from all rooms, separate spaces for four families, and spatial blankness to craft a weekend home. The morphological expression of architecture was not necessary, whereas simple and plain construction logic that can embrace the given conditions was. As a result, we sought to create order in the space by making the hearth as the center of the house and the family and metaphorically capturing the river's horizontality.

Divided horizontality

As soon as the family enters the house, the warmth of a burning fire welcomes them. Behind the hearth, the long open window facing the river supersedes the boundary between inside and outside, bringing nature into the house. The house has a divided floor composition: main living areas are arranged around the hearth in a row toward the river, and secondary spaces, which face the garden, are densely located. The floor has a strong horizontality in response to the river as the connecting corridor being placed between two functionally separated areas, with the living space, the corridor, and the secondary space being arranged in parallel. The divided horizontality is reflected in the elevation of the home, creating an intriguing contrast. The northern facade of the house across the gate has a functionally closed configuration. The house,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river and the land, becomes an object to view, and the waterside scenery subtly reveals itself from the building’s exterior, which heightens expectations of the house. As the southern facade opens horizontally toward the river, the house turns into the subject of one’s gaze at the river. A concrete lintel laid across a series of windows from the elevated portions of the house is a tectonic expression that supports the visually weakened brick wall with holes for programmatic needs, as well as a metaphor for the river and the land's horizontality.

일시적인 것과 지속적인 것  

대지는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류하는 서쪽 강기슭에 자리한다. 40여년 전, 젊은 시절의 건축주께서 집을 지으려 얻은 대지는 긴 세월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아 오랜 수령의 나무들과 무성히 자라난 수풀이 녹음이 짙은 숲을 이루고 있었다. 수풀 사이로 난 좁고 긴 오솔길을 지나 물가에 다다르면 바람에 일렁이는 갈대밭 너머로 고요히 흐르는 강물과 그 위에 얹어진 정암산 자락이 한 폭의 수묵 풍경을 이루고 있다. 이른 아침 피어난 물안개가 태양빛에 흩어지고 무리를 지은 새들이 고요한 적막을 뚫고 물위로 날아든다. 생명의 기운이 충만한 대지의 끝자락에 소명을 다한 채 쓰러져가는 ㅁ자집을 바라보며 일시적인 것과 지속적인 것, 거주의 의미와 집의 원형에 대해 고민했다. 첫 대지 답사에서 설계를 매듭 짓기까지 5년, 그리고 건축이 완성되기까지 7년의 시간이 흘렀다.

집의 원형

원형에 대한 논의는 현상의 본질을 이해하고 현재를 새롭게 구축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원형은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집단적 표상으로 집의 원형은 건축적 실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정체성에 기초한다. 오래전 인류가 무리를 지어 정주를 시작한 시점부터 화로는 집단적 거주의 한가운데 존재했다. 19세기 독일의 건축가 젬퍼 역시 건축이 시작되는 첫번째 요소로 화로를 언급한 바 있다. 오랜시간 사람들의 의식 속에서 신성한 초점을 형성한 화로는 새로 이 땅에 들어설 집의 한가운데에 놓여 가족들의 새로운 구심점을 형성할 것이다. 세월이 흘러 멀리 떨어져 지내는 가족들의 결속과 화합을 염원하는 건축주의 바램처럼 조안면주택은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가족과 공동체의 의미를 발견하고 마음의 안식을 얻어가는 장소가 될 것이다.

질서와 은유

조안면 주택은 제한된 면적 내에 주어진 조건들을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이었다. 강에 맞닿은 대지는 여러 규제들로 인해 전체 대지에서 건물을 놓을 수 있는 위치가 한정적이었으며, 건축 가능한 연면적 또한 부족했다. 여러 층위의 공간적 제약 속에 모든 거주영역에서 강을 조망할 수 있도록 배치하고 네 가족을 위한 각각의 독립된 공간, 그리고 주말주택의 공간적 여백을 담은 이층집을 계획하는 것이 주된 과제였다. 건축의 형태적 표현성은 지양하고 주어진 조건들을 담아낼 단순하고 담박한 구축논리가 필요했다. 집과 가족들의 구심점이 될 화로를 중심으로 전체 공간에 질서를 부여하고, 강의 수평성을 은유적으로 담아 내고자 했다.

이원화된 수평성

집에 들어서는 순간 빨갛게 타오르는 화로의 온기가 식구들을 맞이한다. 그 뒤로 강을 향해 길게 열린 창은 내외부의 경계를 넘어 자연을 집안 가득 끌어들인다. 화로를 중심으로 주요 거주 공간들이 강을 향해 일렬로 배치되고, 보조 공간이 정원을 면해 압축적으로 배치되면서 집은 이원화된 평면구성을 가진다. 공간을 연결하는 복도가 기능적으로 분리된 두 영역 사이에 놓여 거주공간-복도-보조공간이 병렬로 배치되면서 평면은 강에 대응하여 강한 수평성을 가진다. 평면의 이원성은 주요 입면에 투영되어 흥미로운 대비를 만들어낸다. 대문을 들어서면 마주하는 북측면은 기능적으로 닫힌 구성을 가진다. 집은 강과 대지 사이에 놓여 조망의 대상이 되고 수변 풍경이 건물 외곽으로 넌지시 드러나며 집에 대한 기대감을 고조시킨다. 남측면은 강을 향해 수평으로 열리면서 집은 강을 바라보는 시선의 주체가 된다. 조안면 주택의 주요 입면에서 일련의 창호들을 길게 가로질러 얹어진 콘크리트 인방은 프로그램적 필요에 의해 뚫려 시각적으로 약해진 벽돌벽을 공고히 다잡아주는 텍토닉적인 표현이자 강과 대지의 수평성에 대한 은유가 된다.

Collective Landscape

Site  

The Hacheonri Residence + Hotel site sits along the extensive hillside of Malmaru-gol in Cheongpyeong-myeon, Gapyeong-gun. The area is full of natural scenery revealing the layered effect of mountains like a folding screen. Malmaru-gol is a quiet and secluded village surrounded by mountains on three sides, with small houses sparsely clustered along the winding waterways.

Beginning  

The clients were planning to close their business in Seoul, and build a house and a small hotel on the hill above their mother's home, where they would spe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ir lives. At the first meeting at our office, we received a 30-page request for design that precisely described the personalities and hobbies of the family members, as well as specific requirements for major interior spaces. In this happy family, a father with an enthusiasm for exercise who would also like to spend time in a cozy study, and a creative mother who collects antique furniture and crafts bisque dolls were tending their lovable Bichons Frises and occasionally throwing small parties at their house. Near the end of the meeting, the couple expressed their specific aesthetic preferences with two compact and equivocal words: ’French Modern’.

Problems of Style  

The term ‘French Modern’ is commonly used in the contemporary interior industry, spurring inquiry into the problems of placeness, temporality, and style. What meaning could ‘French’ attributes add to a building that takes root in a specific pla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house to be built on a hillside in Malmaru-gol? From which era in France’s long history should inspiration be drawn? Would such styling be available in our contemporary era when genre boundaries have blurred? To answer these questions, through an open conversation with the clients we decided to broaden the aesthetic to ‘Classical’, rather than limiting inspiration to a specific European country. In this respect, we were able to construct a new aesthetic where ‘Modern’, implying presentness in the dimension of temporality, and ‘Classical’, connoting timelessness, coexist.

The «fiction» of the Classical

Michel Foucault described the concept of ‘Effective’ history, noting that history is not made for understanding; it is made for cutting. Contemporary ‘Classical’ aesthetics can be realized in dimensions of architectural types, and representation on the architectural surface. Typologically, a ‘classic’ space is conceived of as comprising ‘The Rooms’ as defined by Louis Kahn, which have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one other. We have attempted to design distinctive spaces with unique ambience to enable users to feel their own presence in a human-scale space, rather than ‘free plan’ or ‘open plan’ of the modernist orthodox. Secondary spaces, such as stairwells, bathrooms, and loggias, should not be treated as ancillary spaces allocated after the division of primary space, but must have their own unique structure, form, and lighting atmospheres. We contemplated the architectural language that could evoke classicity in the interior and exterior surfaces of architecture. The resulting portfolio of ideas includes arches, a traditional form that can be universally employed beyond the times when the use of small bricks necessitated them; brick lintels where horizontally stacked bricks are stably pressed down; and columns, which are not an essential structural element but represent the firm standing of a house while drawing and directing attention. Hacheonri Residence + Hotel project is based on non-verifiable assumptions that contemporary Classical can be realized through architectural type and representation.

Aesthetics of ‘Both-and’  

Hacheonri Residence + Hotel is a project accommodating layers of duality in terms of site and program, in which the clients intend to build a residential home and a small hotel on a narrow and long site sitting between a hill and a valley. The flow of the house and the hotel therefore need to be simultaneously separated and connected. Hotel rooms should be flexibly arranged to enable the spaces to be shar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while maintaining their division. The house and the hotel should be open to allow visitors to appreciate the beautiful natural scenery while avoiding visual contact between the two buildings. The duality embedded in this project extends to the interior space planning, massing, and façade of the house. The house is divided into a parking structure and a residential building by a courtyard and a garden, which play a mediatory role between indoor and outdoor spaces. A hardscape underground courtyard and a softscape garden, which is smoothly connected to a hill, coexist in the outdoor space. The co-existence of duality arising from design strategies creates a coherent and cohesive architectural space. Such techniques include vertical separation and coexistence between above-ground floors as residential space and basement as working space, horizontal separation and coexistence between kitchen and living areas, and implementation of two entrances and two stairwells. This aesthetic of ‘both-and’ apparent in the Hacheonri Residence + Hotel creates an emotional effect of space and surface, naturally derived via solving the problem of duality across multiple layers throughout the project.

Collective Landscape 

Numerous design studies were conducted to arrange a detached house and small hotels as naturally as possible along the steep rectangular site. The site was designed to allow the foundation and structural walls to withstand the pressure of the next level by casting them sequentially from the lower level to the top level without using artificial retaining walls. In each hotel building, single-story unit and double-story unit is stack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segment the space between them on a human scale. The volume of the house was also designed to conform to the topography of the site on two levels, added after the hotels are sequentially stacked along the slope. Because the hotel rooms must have a divided external space and visual contact with other rooms should be avoided, they were alternately stacked and openings were formed to allow visitors to view a variety of landscapes. The openings of windows, arches, and vaults of different proportions and scales coexist on the façades of the hotel and the house in a collective form, creating a sense of rhythm in the architecture. In these ways, Hacheonri Residence + Hotel is a variation of the collective landscape created by the interplay of an intuitive interpretation of the shape of the land, conceptual pondering on the matter of style, and a practical solution to programmatic duality.

대지

대지는 가평군 청평면 말마루골의 경사진 언덕을 따라 길게 자리하고 있고 가까이는 청우산, 멀리는 호명산의 산세가 병풍처럼 겹겹이 펼쳐지는 자연의 풍광을 한가득 담은 곳이다. 말마루골은 남쪽을 제외한 삼면이 모두 산자락에 둘러싸여 있고 굽이치는 물길과 솥틀로를 따라 작은 집들이 드문 드문 모여있는 조용하고 한적한 마을이다.

시작

건축주 부부는 서울에서의 사업을 정리하고 모친께서 살고 계신 본가 위 언덕에 가족들과 함께 여생을 보낼 집과 작은 호텔을 짓고 싶어했다. 사무실에서의 첫 만남에서 가족 구성원들의 성격과 취미, 실내 주요 공간들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사항들이 친절하게 묘사된 서른 페이지 가량의 설계의뢰서를 건네 받았다. 운동을 좋아하지만 아늑한 분위기의 서재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도 좋아하는 아빠, 앤틱가구를 수집하고 비스크돌을 직접 만드는 손재주 좋은 엄마, 그리고 사랑스러운 비숑프리제 아이들은 집에 사람들을 초대해 작은 파티를 자주 여는 행복한 가족이다. 회의가 끝나갈 무렵, 건축주 부부는 그들의 구체적인 미학적 선호를 간결하면서도 모호한 두 단어로 표현해 주었다. “French Modern.”

양식의 문제

서유럽의 특정 국가를 가리키는 ‘French’와 현대성을 뜻하는 ‘Modern’이 결합된, 동시대 인테리어 업계에서 통용되는 용어 ‘French Modern’은 장소성과 시간성, 그리고 양식의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특정 장소에 뿌리를 내리는 건축물에, 더 구체적으로는 말마루골 어느 언덕에 지어질 집에 ‘French’의 속성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 오랜 역사를 가진 프랑스의 어느 시대로부터 영감을 받을 것인가? 장르의 경계가 모호한 오늘날 양식화라는 것이 가능할 것인가? 건축주 부부와의 허심탄회한 대화를 통해 ‘French’를 특정 국가로부터의 영감에 의한 것으로 한정 짓기 보다는 고전성을 가지는 그 무엇(The Classical)으로 주제를 넓혀 보기로 했다. 이로서 시간성의 차원에서 현재성(presentness)을 의미하는 ‘Modern’과 무시간성(timelessness)의 의미를 함축하는 ‘The Classical’이 공존하는 새로운 화두가 던져졌다.

고전성이라는 허구

푸코(Michel Foucault)는 ‘효율적인 역사(effective history)’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며, 역사는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재단(cutting)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했다. 동시대의 ‘고전성’을 건축공간의 유형(type)과 건축표면에서의 재현(representation)의 차원에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유형적으로, 고전적인 공간은 칸(Louis Kahn)이 언급한 ‘The Room’ 개념에 충실한 방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 공간이라 생각했다. 근대건축 이후의 자유로운 평면(free plan)이 가진 원심적인 구성이나 열린 평면(open plan)의 확장성보다는, 휴먼스케일의 공간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느낄 수 있는, 그 공간만의 분위기를 가질 수 있는 고유한 공간을 설계하려 했다. 계단실, 욕실, 로지아 등의 보조 공간은 주요 공간이 분할되면서 남는 공간들이 배분된 부수적인 공간이 아니라 그 방들만의 고유한 구조와 형태, 그리고 빛의 분위기를 가진다. 건축의 내외부 표면에서도 고전성을 환기시킬 수 있는 건축의 언어에 대해 고민했다. 작은 벽돌을 쌓아서 올리는 건축에서 시대를 초월해 보편적으로 쓰일 수 있는 아치, 길이쌓기된 벽돌벽을 안정적으로 눌러주는 인방과 같은 세워쌓기 벽돌들, 구조적으로 필연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시선을 부드럽게 분산시키며 집이 견고하게 서 있음을 표상하는 원기둥 등이 그러한 고민의 결과이다. 하천리 주택+호텔은 유형으로서의 양식론과 재현으로서의 양식론을 통해 동시대적인 고전성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검증 어려운 가정에서 시작되었다.

‘양자공존’의 미학

하천리 주택+호텔은 언덕과 골짜기 사이에 놓인 좁고 긴 대지에 건축주가 정주할 주택과 작은 호텔을 짓는, 대지와 프로그램의 시작부터 여러 층위의 이원성(duality)을 내재한 프로젝트이다. 주택과 호텔의 동선은 분리되면서 연계되어야 한다. 호텔의 객실들은 독립성을 유지하면서도 상황에 따라 공유될 수 있게 유연성 있게 배치되어야 한다. 주택과 호텔의 시선은 서로 겹치지 않으면서도 수려한 자연경관을 감상할 수 있게 개방적이어야 한다. 프로젝트에 내재된 이원성은 주택 내부 공간의 배치와 매스 구성, 그리고 입면 파사드로 이어진다. 주택은 실내외의 완충적 역할을 하는 중정과 정원에 의해 주차동과 주택동으로 분리된다. 외부 공간은 하드스케이프(hardscape)인 지하 중정과 언덕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소프트스케이프(softscape) 정원이 공존한다. 실내로 들어서면 작업 공간인 지하층과 거주 공간인 지상층의 수직적 분리와 공존, 거실 영역과 키친 영역의 수평적 분리와 공존, 2개의 현관과 2개의 계단실 등 프로그램에서 기인한 이원성의 공존이 건축 공간을 응집력 있게 이끌어가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하천리 주택+호텔에서 나타나는 ‘양자공존(Both-and)’의 미학은 실무에서 프로젝트 전반에 걸친 여러 층위의 이원성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자연스럽게 파생되는 공간과 표면의 정서적 효과(affect)이다.

집합 풍경

급경사의 장방형 대지에 단독주택과 작은 호텔들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배치하기 위해 수많은 디자인 스터디를 거쳤다. 인위적인 옹벽을 사용하지 않고 대지의 낮은 레벨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호텔 동의 기초와 구조벽체를 타설하고 그 다음 레벨의 토압을 버틸 수 있게 설계했다. 각 호텔 동에서는 다시 단층 객실 유닛과 복층 유닛이 수직/수평적으로 엇갈려 쌓여서 사이 공간을 휴먼스케일로 분절시킨다. 호텔 매스들이 경사를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얹어지는 주택의 매스 역시 두 레벨에서 대지와 만나면서 지형에 순응하는 모습으로 계획되었다. 호텔의 객실들은 각자 독립적인 외부 공간을 갖추어야 하고 서로 시선이 교차되지 않아야 하기에 매스들은 서로 엇갈리게 적층되고 개구부는 서로 다른 풍경을 바라보게 했다. 호텔과 주택의 입면은 서로 닮은 듯 다른 비례와 스케일의 창호, 아치, 볼트의 개구부가 집합적인 형태(collective form)로 공존하며 건축에 일종의 리듬감을 만들어낸다. 하천리 주택+호텔은 대지의 형상에 대한 직관적인 해석, 양식의 문제에 대한 개념적 고민, 그리고 프로그램의 이원성에 대한 실무적 해결이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집합 풍경의 변주이다.

Reconstructing Novel Historicity

“Identity is like a mousetrap in which more and more mice have to share the original bait, and which, on closer inspection, may have been empty for centuries.” 

– Rem Koolhaas, The Generic City

Museum Archives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has functioned as an archive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over the past 50 years, opening major permanent exhibition halls including Silla History Gallery (Hee-tae Lee, 1975), Wolji Gallery (Swoo-geun Kim, 1982), Silla Art Gallery (2002), and Treasury of the Silla Millennium (2019). Located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District where each building must b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 hanok, the architecture of the National Museum has been a venue for experimentation and debate on the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ity and Korean uniqueness. The West Annex Hall, built in 1979 as a public office facility, was remodeled as a storage room in 2008, undergoing various changes such as cement plastering for the exterior brick walls and integrating the space by removing the interior masonry walls. As part of the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the National Museum decided to remodel the now 40-year-old hall into an archive of Silla historical documents.

Old Building  

The West Annex Hall is a building that exemplifies the traditionality of the Korean architecture sphere of the 1970s in its representation of the wooden structure of a Silla hanok in reinforced concrete. The floor plan has the form of a 15-square house with five rows at the front and three rows on the sides, and the eaves protruding from the front center row highlight the entrance. Unlike the floor plan for a traditional wooden structure, the side center row is designed to be a narrow module of 2.6m. This is because a modern corridor was arranged at the center row for functional reasons. In this way, the spatial form was determined by the intended use, rather tha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materials. In addition to poor construction quality,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shape of the wooden structure to a concrete one has exhibited many limitations in terms of the overall perfection of the structures, including oversimplified expressions and awkward details. Due to budget limitations, we plan to proceed with the design focusing on the interior space requiring the practical functions of the library while satisfying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From the Phantom of Traditionality to Novel Historicity

The morphological aesthetics of the existing West Annex Hall leads to an architectural conundrum that has been incessantly recurrent in the field over its long history: how to integrat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context. What meaning would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of Silla a thousand years ago have had in the South Korea of the 1970s? How was the architecture of the 1970s appreciated in the South Korea of the 2000s, which attempted to reproduce the traditionality of Silla?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ilding’s new function and its required ‘traditional’ form under circumstances where its use has changed several times over the decades? As Rem Koolhaas indicated, architecture aiming at traditionality becomes a tautological, ‘empty’ construction when traditional identity is solely defined as past-oriented. Without the pursuit of coherence, prioritizing the future-oriented values over the past and present, it will become a construction of empty echoes. Historical cultural heritage can deliver a unique and sustainable value only when it is reinterpreted with a sense of ‘presentness’ and related to the future via the concept of a historical continuum.

A Problematic Return: from Stereotomics to Tectonics  

The West Annex Hall attempted to reproduce the traditionality of Silla by fabricating the traditional wooden hanok structure with reinforced concrete, stacking masonry walls between the columns, and adding cement plastering. Built with a low budget in a corner of a local museum in the 1970s, the expression and detail of the materials are crude to the point of being considered postmodern kitsch. This building raises an interesting conceptual problem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technology and representation in architecture. Given that the properties and construction technologies of concret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wood, what is the significance of expressing traditionality by borrowing the outward appearance alone? Back in 1828, German architect Heinrich Hübsch published a critique on this issue, sparking a fierce debate in the architectural circle at that time. The classical style of Western architecture is, as a matter of fact, one in which the joint details derived from wooden structures had been transferred to stone structures, leaving traces of its previous form. In this respect, Hübsch was critical of the neoclassical methodology that borrowed a style from the past, rooted in different material properties under the situation where new materials and technologies were being applied to a new era.

Gottfried Semper classified architecture into tectonics and stereotomics, depending on the means of construction.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the wooden structure of hanok, in which pieces of different lengths are combined to create a frame surrounding the space, is categorized as tectonic; while stone or concrete structures can be classed as stereotomic, in which weighty masses are stacked or hardened to form a space. Despite Hübsch’s criticism of neoclassicalism, inconsistent or vague classifications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representations have been utilized throughout the history of mankind. The Temple of Athena at Paestum maintains the two modes where columns and beams meet: the junction of beams is performed through the wooden tectonic mode, while the columns were fabricated with stones in the stereotomic mode. The technology for the Great Temple at Petra, Jordan is classified as stereotomic because this temple was constructed by knobbing and cutting stones, despite the form being seemingly realized by a tectonic process. These two temples serve as cases leaving a room for pluralistic interpretations over whether an artform is defined by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materiality), or the creative drive (kunstwollen). This provides a source of inspiration for creative counter-intuition about timeless styles.

The existing West Annex Hall had been constructed by implementing the appearance of the tectonic form of the traditional wooden structure through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stereotomics. A purely stereotomic concrete structure remains in the interior of this building after the removal of a partition wall and a ceiling for remodeling. Following Hübsch, what kind of space could be constructed in the interior under circumstances where budget limitations require the project to focus mainly on the interior? Moreover, what relationship would the interior space have with the existing exterior of the building? Taking over the incomplete work based on the stereotomic implementation of tectonic traditionality in the 1970s when South Korea had been a poor country, we aim to realize a wooden tectonic structure that will be extended from the stereotomic concrete structure to the interior space. This work is a transition to a novel historicity extending the concept of traditionality beyond mimesis of past heritage into the emotional effects (affect) of the material and joint.

The Fantasy of the Architectural Bookscape  

The library is the architectural fantasy of the zeitgeist about the space of sacred knowledge. The architectural representations of library bookscapes have varied in each era, including the centripetal bookshelves of Stockholm Public Library (Gunnar Asplund, 1928), bookshelves surrounding nine-square voids in Public Library Stuttgart (Eun-young Lee, 2011), the diagonally open reading space of the Bibliotheca Alexandrina (Snøhetta, 2011), and the successive ramps of Jussieu Library (OMA, 1992). However, these attempts, by their nature, have not significantly deviated from the neoclassical Bibliothèque du Roi planning (1785) of Étienne-Louis Boullée. The library is a fantasy space where divine light illuminates from the sky, and the field of knowledge surrounded by books unceasingly expands.

The Haeinsa Temple Janggyeong Panjeon is a building preserving Tripitaka Koreana (81,258 wooden printing blocks) from the Goryo period. It is the oldest building in Haeinsa Temple. Panga (Tripitaka storage) is placed along the purlin direction inside Sudara-jang and Beopbo-jeon, housing printing blocks which resemble the bookshelves of a library. Although the wooden structure of Panga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at of Panjeon architecture, this juxtaposition of timber structures creates a spatial aesthetic fantasy integrating architecture and Panga due to their resemblance in material and form. In a situation where existing library constructions or historical materials from the Silla period are absent, it is impossible to reproduce the traditions of Silla through historical investigation. Alternatively, we aimed to implement a new historical bookscape that reinterprets the spatial aesthetics of the Haeinsa Janggyeong Panjeon, the oldest of the times, from the present viewpoint.

The Silla Millennium Archive is a project that has a problem of asymmetry in the interior space because only 12-square space among the existing West Annex Hall are available for library use: four out of five front rows, excluding one row in the north, as well as three rows on the sides. In addition, the requirements of the program, including a reading space, a librarian space, and a book curation space are realistic factors that compromise the order of the spatial form. How can we resolve the contradiction between architectural ideals of symmetry and balance, and the asymmetric interior space? Mirrors reflect the entity of reality, create a virtual illusion, and expand the world of senses beyond the limits of physical space. The symmetrical encounter of the two worlds at the interface of mirror surfaces has played a role in reinterpreting the meaning of being and delivering hidden symbols in classical and contemporary arts. In the Silla Millennium Archive, the mirror installed in the pediment reflects the shape of the asymmetric space, creating the illusion of symmetrical order and extending the space of knowledge beyond physical boundaries. The mirror is a spatial metaphor for a thousand-year-old historical document archive, as well as an architectural fantasy about the endlessly extending bookscape.

박물관 아카이브

국립경주박물관은 지난 50여년 동안 신라역사관(이희태, 1975)을 시작으로 월지관(김수근, 1982), 신라미술관(2002) 등의 주요 상설전시관과 특별전시관(1982), 그리고 대규모 문화재 보관 시설인 신라천년보고(2019)를 갖추며 한국 근현대 박물관 건축의 아카이브로 기능해왔다. 맥락적으로 한옥의 형태를 따라야 하는 역사문화미관지구에 속해 있어, 1975년에 개관한 신라역사관에서부터 1982년의 월지관, 2019년의 신라천년보고에 이르기까지 국립경주박물관의 건축은 전통성과 한국성의 표상에 대한 실험과 논란의 장이 되어왔다. 1979년 업무시설로 지어진 서별관(건축가 미상, 1979)은 2008년 수장고로 개보수되면서 외관의 벽돌벽에 시멘트 미장을 하고 내부 조적벽체를 터서 공간을 통합하는 등의 크고 작은 변화들이 있었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중장기 발전계획의 일환으로 40년이 넘은 서별관 건물을 신라역사문헌 아카이브로 리모델링하기로 결정했다.

오래된 건물

서별관은 신라 한옥의 목구조를 철근콘크리트로 재현하고자 한 70년대 한국건축계의 전통성에 대한 고민이 담겨있는 건축물이다. 평면구성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15칸집의 형식을 갖추고 있고 정면 가운데 칸에서 돌출된 처마가 입구성을 강조하고 있는 모습이다. 전통 목구조의 평면 형식과는 달리 측면의 가운데 칸이 2.6m의 좁은 모듈로 되어 있는데, 이는 기능적인 이유로 가운데 칸에 근대식 복도가 배치되면서 공간의 형식이 건축 부재의 구조적 특성이 아닌 내부의 프로그램에서 기인했기 때문이다. 기와지붕에 신라시대의 치미를 갖추는 등 역사성에 대한 고민이 담겨있지만 목구조의 형태를 콘크리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단순화된 부재의 표현과 어색한 디테일, 조악한 시공 품질 등 전반적인 건축의 완성도 측면에서는 많은 아쉬움이 있는 건물이다. 예산의 한계로 인해 외관은 최소한으로 정리하고 도서관의 실질적인 기능을 갖추어야 하는 내부 공간을 중심으로 설계를 진행하기로 한다.

전통성의 환영에서 새로운 역사성으로

기존 서별관의 형태미학은 오랜 역사를 거치며 건축에서 수없이 되풀이 되어온 건축적 난제들을 다시 불러일으킨다. 1970년대 한국에서, 천년 전에 존재했던 신라의 전통 건축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혹은, 2020년대 한국에서, 신라의 전통성을 재현하려고 한 1970년대 건축물의 가치는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지은지 40년이 넘은 건축물의 용도가 세번 째 바뀌는 상황에서 새로운 프로그램과 기존 건축물의 전통적(?) 형태는 어떤 관계를 맺을 것인가? 쿨하스(Rem Koolhaas)가 지적한 바와 같이, 전통성이라는 정체성을 과거 지향적으로만 정의할 때 전통성의 건축은 공허한 동어반복의 건축이 된다. 또한, 미래 지향성의 가치만을 우위에 두고 과거와 현재의 배제를 통한 통일성을 추구한다면 그 또한 공허한 메아리의 건축이 될 것이다. 과거의 문화유산을 현재성으로 재해석하고 연속되는 역사성의 개념으로 미래와 관계 맺을 때 비로소 지속가능한 고유의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스테레오토믹에서 텍토닉으로의 귀환

서별관은 한옥의 목구조 형태를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만든 후 기둥과 기둥 사이에 조적벽을 쌓고 시멘트 미장을 더해 신라의 전통성을 재현하려고 한 건물이다. 70년대 지방 박물관 한쪽 귀퉁이에 저예산으로 지어진 만큼 부재의 표현과 디테일이 조악해 어찌보면 포스트모던의 키치(kitsch) 버전스럽기도 하지만, 건축에서의 구축기술과 표상의 관계에 대한 흥미로운 개념적 문제를 내재한 건물이다. 콘크리트의 물성과 구축기술은 목재의 그것과 다름에도 불구하고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만 차용해 전통성을 표상하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는가? 시대를 거슬러 약 200년 전인 1828년 독일 건축가 휩쉬(Heinrich Hübsch)가 발표한 논문 <In What Style Should We Build?> 역시 비슷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고 당시 건축계에서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서양건축의 고전 양식은 사실 목구조에서 기인한 부재의 접합 디테일이 석조로 전환되면서도 그 형태의 흔적이 남아서 양식화된 것인데, 휩쉬는 새로운 시대에 새로운 재료와 기술로 건축을 하는 상황에서 다른 물성에서 기인한 과거의 양식을 차용하는 신고전주의적 방법론에 대해 비판적 입장이었다.

젬퍼(Gottfried Semper)는 건축을 구축 방식에 따라 텍토닉(tectonics)과 스테레오토믹(stereotomics)으로 분류했다. 길이가 여러 가지인 부재를 결합해서 공간을 둘러싸는 틀을 만드는 한옥의 목구조는 텍토닉으로, 중량감 있는 덩어리를 쌓거나 굳혀 공간을 형성하는 석조나 콘크리트는 스테레오토믹으로 분류할 수 있겠다. 휩쉬의 신고전주의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으로 구축기술과 표상이 일치하지 않거나 모호한 선례들은 늘 인류 역사와 함께 해 왔다. 파에스툼(Paestum)의 아테나 신전은 기둥과 보가 만나는 형식, 그리고 보의 접합은 목조 텍토닉의 형식을 유지하고 있지만 기둥 자체는 일정한 석재 덩어리를 쌓아서 만든 스테레오토믹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요르단의 페트라(Petra) 신전은 암석을 깎고 잘라내어 만든 것으로 구축 기술은 스테레오토믹으로 분류되지만 결과적으로는 텍토닉에 의해 구현된 듯한 형태를 얻어냈다. 파에스툼과 페트라는 예술의 형태가 물질의 물성(materiality)에서 나오는 것이냐, 예술의지(kunstwollen)에서 나오는 것이냐에 대한 다원적인 해석의 여지를 주는 선례이며, 시대를 초월해 양식에 대한 창의적인 역발상을 가능하게 하는 영감의 원천이 된다.

기존 서별관은 외관에서 전통 목구조의 텍토닉 형태를 스테레오토믹의 구축 기술로 구현한 것이다. 리모델링을 위해 칸막이벽과 천장을 철거한 후의 내부는 순수하게 스테레오토믹의 콘크리트 구조만 남아있다. 예산의 한계로 프로젝트의 범위가 실내에 집중된 상황에서 내부에 어떤 건축 공간을 만들어낼 것인가?(In What Style Should We Build?) 그리고 내부 공간은 건물의 기존 외관과 어떤 관계를 맺을 것인가? 한국이 아직 가난했던 70년대, 예산과 기술의 한계로 스테레오토믹으로 구현하려고 했던 텍토닉의 전통성, 그 미완의 작업을 이어받아 스테레오토믹 콘크리트 구조에서 내부로 확장되는 목구조 텍토닉을 구현하려고 한다. 이는 과거유산의 형태모방(mimesis)에만 국한시켰던 전통성의 개념을, 공간을 정의하는 재료의 물성과 조인트(joint)의 정서적 효과(affect)로 확장시켜 재해석하는 새로운 역사성(novel historicity)으로의 전환이다.

책풍경의 판타지

도서관은 신성한 지식의 공간에 대한 시대정신의 건축적 판타지이다. 스톡홀름 공공도서관(Gunnar Asplund, 1928)의 구심형 서가, 슈투트가르트 시립도서관(이은영, 2011)의 구정방(nine-square) 보이드를 둘러싸는 서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Snøhetta, 2011)의 사선으로 오픈된 열람 공간, 주시우 도서관(OMA, 1992)의 연속되는 경사로 등 도서관 책풍경(bookscape)에 대한 각 시대의 건축적 재현은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그 본질은 신고전주의 건축가 불레(Étienne-Louis Boullée)의 도서관 계획(Bibliothèque du Roi, 1785)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 도서관은 하늘에서 신성한 빛이 떨어지고 책으로 둘러싸인 지식의 장이 끝없이 확장하는 판타지의 공간이다.

해인사 장경판전은 고려시대의 8만여장의 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로, 해인사의 현존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판전인 수다라장과 법보전 내부에는 경판을 꽂아둔 판가가 도리방향으로 길게 놓여 있는데 도서관의 서가를 닮았다. 판가의 목구조는 판전 건축의 목구조에 직접적으로 결구되어 있지는 않지만 재료와 형식이 닮아 건축과 판가가 하나로 통합된 공간미학적 판타지를 만들어낸다. 현존하는 신라 시대의 도서관 건축이나 사료가 없는 상황에서 고증을 통해 신라의 전통성을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신, 시대적으로 가장 오래된 장경판전의 공간미학을 현재의 시점으로 재해석한 새로운 역사성의 책풍경을 구현하고자 했다.

신라천년서고는 기존 서별관의 정면 5칸 중 북측의 1칸을 제외한 4칸과 측면 3칸의 12칸만 도서관으로 쓸 수 있어 내부공간의 비대칭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프로젝트이다. 또한, 열람 공간, 사서 공간, 북큐레이션 공간 등 프로그램의 요구사항 역시 공간 형식의 질서를 타협시키는 현실적인 요인들이다. 대칭과 균형의 건축 형식과 비대칭적인 내부공간의 모순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거울은 현실의 실재를 비추며 가상의 환영을 만들어내고 실제 공간의 한계를 넘어 감각의 세계를 확장시킨다. 거울면의 경계에서 만나는 두 세계의 대칭적 조우는 고전과 현대예술에서 존재의 의미를 재해석하고 숨겨진 상징을 전달하는 역할을 해왔다. 신라천년서고에서 로비 상부 박공(pediment) 영역에 설치된 거울은 비대칭 공간의 형상을 반사해 대칭적 질서의 환영을 만들어내고 지식의 공간을 물리적인 경계 너머로 확장시킨다. 거울은 천년의 역사문헌 아카이브에 대한 공간적 은유이며 끝없이 뻗어나가는 책풍경에 대한 건축적 판타지이다.

The meaning of Home

집의 의미 ,  집에 대한 세가지 단상

올해 가을, 프라하에서 열리는 국제건축전시(Architecture Week Prague 2018)에 초대건축가로 참여하게 되면서, 프로그램 디렉터로부터 유네스코와 함께 진행하는 어린이 건축학교를 한국에서 진행해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건축학교의 실무진들과 어린이 눈높이에 맞는 건축 드로잉 커리큘럼에 대해 논의하면서 가장 기본이 되었던 공감대는, 우리나라 아이들 대부분이 평면적으로 규격화된 아파트 이상의 건축을 잘 알지 못한다는 점이었다. 대한민국 국민의 절반 이상이 아파트에 살고 있는 아파트공화국에서, 집의 의미는 아마도 환금성과 수익성, 그리고 입지성과 편의성 등 우리가 집에 대해 떠올릴 수 있는 수많은 생각들이 모두 스쳐 지나간 후에야 희미하게나마 떠올릴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기억에서 기념으로

건축주와의 만남은 언제나 즐겁다. 대부분의 건축주들은 첫 미팅에서 집을 지을 땅과 주변 환경, 필요한 방의 개수와 거실의 크기부터 이야기하지만, 우리는 그들이 지금까지 살아온 오래된 이야기가 궁금하다. 언제 어느 동네에서 태어나 어떤 직업을 갖고 누구와 살아왔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 그들이 편안함을 느끼는 공간이 그려지기 때문이다. 집은 정주성을 전제로 하며, 사는 이들의 과거를 기념하는 곳이다. 한 사람 혹은 가족 구성원들의 몸에 밴 생활습관과 총체적인 삶의 기억들을 존중할 때, 비로소 그들을 위한 진정성 있는 집을 지어줄 수 있다고 믿는다. 유행에 따라, 혹은 가게주인이 바뀔 때마다 얼굴이 바뀌는 상업건축물들과는 달리 집은 동네의 기억을 만들고 나아가 도시의 기념물이 된다. 우리는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오렌지빛 석양을 받으며 따뜻하게 맞이해주는 이웃집들에 위안을 느끼고, 칠흑같은 밤에도 환하게 밝혀진 수많은 창들을 바라보며 마음 편히 산책을 한다. 집은 지극히 개인적이고 가족중심의 사적 공간임에도, 동시에 수많은 이웃들에게는 소중한 일상의 배경이 되는 공공의 기념물인 것이다.

고유한 일상과 보편적인 공간

우리의 일상은 고유하다. 건축가라는 직업적 특성상 수많은 건축주들을 만나지만 똑 같은 삶은 없다. 건축가들은 건축주의 직업과 성향, 취미 등 그들 삶의 고유한 측면을 고려해 공간을 디자인한다. 그러다 보니 건축주의 삶이나 환경의 특수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포장되어 과도하게 왜곡된 형태나 지나치게 선정적인 색채, 극단적으로 폐쇄적인 공간구조를 가진 집들을 여러 매체들을 통해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이러한 특이성들은 선정적인 키워드와 함께 건축가의 창의성으로 부풀려지기도 한다. 하지만, 내부의 기능을 위해 비틀린 형태는 수용하는 기능이 변할 때 장점을 잃을 것이다. 개인의 취향에 맞춘 알록달록한 벽면은 이웃에게는 시각적인 폭력일 지도 모른다. 사생활 보호를 이유로 외부로 창을 내지 않는 집들로만 가득한 동네를 걷는 느낌은 어떨까? 사실 집이라는 것은 사람의 인생과 비슷하여 삶의 주기에 따라 많은 변화를 겪게 된다. 길어진 평균수명에 비해 직업이나 취미는 더 이상 고정적인 의미를 갖지 못한다. 가족구성원의 변화에 따라 공간에 대한 요구들 또한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집을 지을 때, 지나치게 거주자의 특정한 측면에만 초점을 맞출 경우, 삶 전반에 걸쳐 보편적으로 충족해야 할 집의 가치를 잃을 수도 있는 것이다. 소소하지만 고유한 일상을 담을 수 있는 보편적인 공간으로 지은 집이 오래가지 않을까?

 

지속되는 삶과 지속가능한 건축

집이 지어지는 순간부터, 우리는 도시의 유목민 생활에서 벗어나 건축물의 수명만큼이나 긴 안목으로 삶을 바라보게 된다. 일반적으로 집을 짓는다는 것은 평생 열심히 일해 모은 돈으로 한 가족이 평안히 오랫동안 머물 수 있는 거처를 마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건축주들은 집을 지을 때, 가족 구성원의 변화나 경제사정에 따라 가변적으로 고쳐 쓸 수 있는 집에 대해 이야기한다. 하지만 현실은, 많은 사람들이 가족이나 직장, 그리고 교육환경 등의 변화가 있을 때, 그에 맞는 새로운 지역의 적합한 환경으로 이사를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는 심지어 동네를 걸으며 늘 마주치던 주택이 사무실로, 그리고 다시 갤러리로 리모델링되는 경우를 흔히 보게 된다. 그렇다면 어떤 집이 지속가능한 가치를 가지는 것일까? 특정한 기능과 상황에만 적합한 형태보다는 보편적인 주거의 본질을 존중한 공간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특정한 스타일만을 고수하는 건축가의 에고가 가득한 디자인보다는 쓰이는 재료의 물성과 구축방식에 의한 형태를 존중한 디자인이 적합할 것이다. 일시적으로 눈에 띄는 현란한 재료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소모성 재료보다는 세월의 흐름과 함께 고색창연한 기품을 더해가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집은 건축주에게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보살핌의 장소이다. 그리고 몇 세대에 걸쳐 사람의 인생보다 더 오래 지속되며 수많은 삶의 기억과 의미들을 담아내며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만들어나가는 실천적 문화인 것이다.

From   Nº4 MAGAZINE BRIQUE

Read More